분류 전체보기(226)
-
GURU_unity_4주차 FPS 게임 제작(7)
게임을 만드느라 기록하지못했던 마지막 차시 공부내용이다. 늦었지만 학습한걸 기록하려고 한다. 길찾기 (메시 링크) 스나이퍼 모드 무기 효과 길찾기 (메시 링크) ➡ 단절된 이동 영역을 건너가기 내비게이션 이동 가능한 영역이 높이 차이 등의 이유로 인해 단절되어 있더라도 오프 메시 링크(Off Mesh Link) 기능을 이용해 임의로 연결 가능하다. 오프 메시 링크 기능을 테스트하기 위해 임시로 장애물 오브젝트(큐브)를 생성한다. 오르기 시작할 곳과 올라갈 곳, 내리기 시작할 곳과 내려올 곳에 각각의 빈 게임 오브젝트들을 배치한다. 씬 뷰에서 위치를 편하게 볼 수 있도록 노란색 기즈모 아이콘도 설정한다. 반드시 이동 가능 영역 안쪽에 빈 게임 오브젝트를 배치되도록 주의한다. 오르기 시작할 위치 오브젝트(U..
2023.08.12 -
8월 2주차 과제 : 문제 1_피자나눠먹기(2)
8월 2주차 과제는 다음과 같다. 1. 피자나눠먹기(2) 2. 중복된 숫자개수 3. 중앙값 구하기 오늘의 첫번째 문제이다. 문제 설명 머쓱이네 피자가게는 피자를 여섯 조각으로 잘라 줍니다. 피자를 나눠먹을 사람의 수 n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n명이 주문한 피자를 남기지 않고 모두 같은 수의 피자 조각을 먹어야 한다면 최소 몇 판을 시켜야 하는지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보세요. n result 6 1 10 5 4 2 머쓱이네 피자가게는 피자를 여섯 조각으로 잘라 줍니다. 피자를 나눠먹을 사람의 수 n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n명이 주문한 피자를 남기지 않고 모두 같은 수의 피자 조각을 먹어야 한다면 최소 몇 판을 시켜야 하는지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
2023.08.12 -
백준 2439번(별 찍기 -2)
문제 풀이
2023.08.05 -
8월 1주차 과제 : 문제 3_피자나눠먹기
8월 1주차 과제는 다음과 같다. 1. 편지 2. 양꼬치 3. 피자나눠먹기 1주차 마지막 문제이다. 머쓱이는 양꼬치 가게에 피자가게를 소유한 효자(●'◡'●) 머쓱이네 피자가게는 피자를 7조각 씩 잘라준다. 피자를 나눠먹을 사람의 수가 얼마이든 일단 한조각씩은 무조건 먹어야한다. 그렇다면 7의 배수만큼 사람이 존재할 때와 아닐 때로 구분해야할 것같다. 이 문제를 푸는 것도 역시나 if문을 활용해 경우를 나누어보았다. 만약에 피자를 먹을 사람이 7의배수만큼 있다면 즉, if (n%7==0) 7로 나눈 나머지가 0이라면, answer는 7로 나눈 n의 수만큼 피자의 개수가 필요할 것이다. 그런데 만약에 15명이 존재한다면? 2판을 시키면 14조각이니까 아쉽게도 한판이 더 필요하다. 그렇기때문에 남은 조각이 ..
2023.08.03 -
8월 1주차 과제 : 문제 2_양꼬치
8월 1주차 과제는 다음과 같다. 1. 편지 2. 양꼬치 3. 피자나눠먹기 두번째 문제이다. 머쓱이는 양꼬치 가게를 하는데 10인분 먹으면 음료수를 하나씩 서비스로 준다고한다. 그러면 여기서 10인분이상 먹었을 때와 아닐때를 if문을 사용해서 구분을 해야겠다. 만약에 머쓱이네 가게에서 양꼬치를 10인분 이상을 먹는다면 음료무료로 먹는 부분은 개수에서 빼주어야 값이 계산이 가능한데 기본적으로 양꼬치 가격인 12000원에 곱하기 n을 해주어 양꼬치 가격을 구한다. 그리고 음료수는 내가 먹은 음료수 개수에서 서비스로 받은 부분만큼 빼주어야하니까 k에서 n을 10으로 나누어준 몫 만큼 빼주었다. 만약 10인 분을 시켰다면 10/10은 1 즉, 한개를 서비스로 받을 것이고, 15인분을 먹었다면 1.xx이므로 몫을..
2023.08.03 -
8월 1주차 과제 : 문제 1_편지
8월 1주차 과제는 다음과 같다. 1. 편지 2. 양꼬치 3. 피자나눠먹기 첫번째 문제이다. 머쓱이가 할머니께 편지를 쓰려고 하는데 글자를 2cm로 쓴다고 한다. 그러면 원래 글자 크기를 1이라고 할 때 2배 만큼 더 공간이 필요할 것이다. c에서는 문자열 단원에서 strlen, strcpy, strcat같은 것들을 배우는데, 문자열의 길이는 strlen으로 사용할 수있다. 간단하게 answer가 문자열의 길이를 대입받고 대신 1이 아닌 2cm이므로 x2를 해주면 될거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message값에 문자열 길이를 나타낸 만큼에 *2 를 해주었다. 정답입니다.
2023.0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