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WLUG/Network(7)
-
6주차_Network : 소켓 실습
몇주간에 걸쳐서 네트워크에 대하여 학습했다. 마무리로 우리 조는 함께 모여 소켓 실습을 진행했다. 📌실습 내용 [소켓] from socket import * serverSock = socket(AF_INET, SOCK_STREAM) serverSock.bind(('127.0.0.1', 8080)) serverSock.listen(1) connectionSock, addr = serverSock.accept() print(str(addr), 'access') data = connectionSock.recv(1024) print("data:", data.decode('utf-8')) connectionSock.send('I am server.'.encode('utf-8')) print('메시지를 전송하였습니..
2023.11.19 -
5주차_Network : 응용 계층 & 무선LAN
1. 응용계층 개요 2. DHCP 3. DNS 4. HTTP 5. 쿠키 6. 프록시 서버 📌 응용 계층 개요 ➡ 응용 계층 역할 클라이언트가 브라우저 접속하고 싶어! 파일 전송하고 싶어! 메일 전송하고 싶어! 와 같은 요청을 하면 서비스를 통신 대상인 웹 서버 프로그램, FTP 서버 프로그램, 메일 서버 프로그로그램으로 하여금 인식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 정리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서비스를 통신 대상인 서버가 인식 할 수 있게끔 데이터(메시지)를 변환하는 계층이다. 주요 프로토콜 : DHCP, DNS, HTTP, SMTP, POP3, IMAP, SNMP, FTP 데이터 단위 : 메시지 [ 참고 학습 자료 ] https://blog.naver...
2023.11.04 -
4주차_Network : 전송 계층
1. 전송 계층 개요 2. TCP 세그먼트 & TCP해더 3. 3-way handshake & 4-way handshake 4. TCP 에러제어 5. TCP 흐름제어 6. TCP 혼잡제어 7. 포트 번호 8. UDP 📌 전송 계층 개요 ➡ 전송 계층 역할 ( 목적지에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가? ) 전송계층에는 TCP, UDP 가 있다. 전송 계층의 통신방식에 따라서 두가지로 나뉜다. 연결형 통신: 신뢰성과 정확성(연결 필요) Ex ) TCP 프로토콜 비연결형 통신: 효율성(빠르게, 일방적인 통신) Ex ) UDP 프로토콜 전송 계층의 역할은 다음과 같다. ✓ TCP ✓ 연결형 서비스 ✓ 재전송 서비스 (타이머) ✓ 전이중 서비스 ✓ 흐름제어 ✓ 에러제어 ✓ 혼잡제어 등. 정리해보자면 ..
2023.10.28 -
3주차_Network : 네트워크 계층
네트워크 계층 개요 네트워크 계층이란? OSI 기준 모델의 7계층 가운데 제3계층. 하나 또는 복수의 통신망을 통하여 컴퓨터나 단말 장치의 시스템 간에 데이터를 전송한다. 망 내의 중계 기능에 의해 단말 시스템 간에 통신로를 제공한다. 네트워크간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위와 같은 프로토콜을 통해 동작을 수행하는 라우터라는 장비도 필요하다. 라우터란? 라우터(router)의 명사형 route는 ‘길’이라는 의미입니다. 단순히 다른 네트워크를 연결해줄 뿐만 아니라 적절하고도 효율적인 길을 알려주는 역할까지 하는 장비입니다. 참고 학습 자료 라우터란? 라우터의 기능 - 언제나 한결같이 꼭 그렇게 : 또바기 같은 삶을 위해 (tistory.com) 라우터란? 라우터의 기능 안녕하세요, 네트워크에 관심 있는 ..
2023.09.30 -
2주차_Network : 데이터 링크 계층
[ 데이터 링크 계층 개요 ] 데이터 링크 계층이란? 데이터 링크 계층은 OSI 모델의 하위 2계층이며,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능과 절차를 제공하는 계층이다. 인접한 하위계층인 물리계층에서 일어날 수 잇는 에러를 감지하고 수정하는 역할을 한다. 물리적 주소 설정 흐름제어 에러제어 데이터링크 계층의 대표적인 네트워크 기기는 물리적인 주소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스위치가 있으며, 주요 프로토콜로는 이더넷, CSMA/CD 그외 프로토콜 등이 있다. 데이터링크 계층은 2개의 부계층으로 나뉜다. 각각 LLC(Logical Link Control), MAC(Media Access Control)로 나눌 수 있다. LLC는 논리적 연결제어로 데이터 링크계층의 기본 기능을 다루는 계층이다. MAC은 매체 접근 제어로,..
2023.09.21 -
1주차_Network.2 : 물리 계층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2023.0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