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11. 24. 14:37ㆍAlgorithm ( p & swlug )/Baekjoon
문제
세준이는 피시방에서 아르바이트를 한다. 세준이의 피시방에는 1번부터 100번까지 컴퓨터가 있다.
들어오는 손님은 모두 자기가 앉고 싶은 자리에만 앉고싶어한다. 따라서 들어오면서 번호를 말한다. 만약에 그 자리에 사람이 없으면 그 손님은 그 자리에 앉아서 컴퓨터를 할 수 있고, 사람이 있다면 거절당한다.
거절당하는 사람의 수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자리는 맨 처음에 모두 비어있고, 어떤 사람이 자리에 앉으면 자리를 비우는 일은 없다.
입력
첫째 줄에 손님의 수 N이 주어진다. N은 100보다 작거나 같다. 둘째 줄에 손님이 들어오는 순서대로 각 손님이 앉고 싶어하는 자리가 입력으로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에 거절당하는 사람의 수를 출력한다.
📍 문제 풀이 (내생각 & 기타)
일단 문제를 풀기 전에 피시방 구조를 잠깐 생각해봤다.
피시방 자리가 있고 이를 변수로 만든다. 그리고 일단은 손님을 받아야하니까 손님을 받을 변수를 만들어야한다.
또, 손님이 앉을 자리가 필요하다. 그리고 거절당하는 손님의 수를 세야하는데 즉, 손님이 자리에 앉고 싶어하는데 이미 앉아있어서 거절당하는 손님의 수를 셀 수있도록 변수를 생성해두어야하고 이를 반복하면서 자리를 앉히느냐 앉아있으면, 얼마나 거절을 하냐의 문제이다.
📍 코드 분석
n = int(input()) # 손님의 수
customer = list(map(int, input().split())) # 손님이 앉고 싶어하는 자리
cnt = 0 # 거절당하는 사람의 수
seat = [] # 피시방 자리
for i in range(n):
if customer[i] in seat: # 앉고 싶어하는 자리에 사람이 있으면
cnt += 1 # 거절한다.
else: # 자리가 비어있으면
seat.append(customer[i]) # 자리에 앉는다.
print(cnt)
📍 느낀점
해당 문제는 풀이를 참고하기는 했지만, 비교적 간단해서 생각하는데는 큰 문제는 없었다.
기존에 풀었던 알고리즘에 비하면 꽤나 간단한 문제였던 것 같고, 이런 문제들은 쉽게 풀 만큼 익숙해지면, 더 어려운 문제를 풀 수 있을지도...
[ 참고한 자료 ]
'Algorithm ( p & swlug ) > Baekjo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2학년 2학기 알고리즘 과제_7주차(백준_1547번:공) (0) | 2024.11.24 |
---|---|
2학년 2학기 알고리즘 과제_6주차(백준_1098번:쌍둥이 마을) (0) | 2024.11.16 |
2학년 2학기 알고리즘 과제_6주차(백준_1074번:Z) (0) | 2024.11.16 |
2학년 2학기 알고리즘 과제_5주차(백준_1063번:킹) (0) | 2024.11.13 |
2학년 2학기 알고리즘 과제_5주차(백준_1033번:칵테일) (0) | 2024.11.13 |